터키 사르마 포도잎 말이 – 오스만 제국에서 전해진 정통 레시피와 역사 총정리

반쎄오(Bánh xèo) 는 바삭하게 구운 쌀가루 반죽에 새우, 돼지고기, 숙주 등을 넣어
반달 모양으로 접어 구워낸 베트남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이자 가정식입니다.
한국의 부침개, 프랑스의 크레페, 일본의 오코노미야키와도 비교되는 독특한 매력을 가진 요리로,
고소하고 바삭한 식감과 향긋한 채소, 피쉬소스를 곁들인 디핑소스가 어우러져
현지인은 물론 관광객 모두에게 사랑받는 메뉴입니다.
‘반(Bánh)’은 베트남어로 떡이나 팬케이크류 음식을 뜻하고,
‘쎄오(xèo)’는 팬에 반죽을 부을 때 나는 지글지글한 소리를 형상화한 단어입니다.
즉, 반쎄오 = 지글지글 소리를 내며 구운 팬케이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반쎄오는 19세기 남부 베트남 지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쌀이 주식인 지역 특성을 살려 쌀가루를 얇게 부쳐 바삭하게 만든 것이 특징입니다.
프랑스 식민지 시기 크레페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설도 있으며,
현지에서는 비 오는 날 먹는 음식, 축제 음식, 가족 모임 음식으로 다양하게 즐깁니다.
남부형 반쎄오 (호치민): 크고 얇으며 아주 바삭함. 코코넛 밀크 반죽 사용.
중부형 반쎄오 (후에): 작고 두툼하며 쫄깃한 식감. 바삭함은 적지만 내용물이 풍부함.
북부형 반쎄오 (하노이): 상대적으로 드물며, 쌈채소와 허브가 풍부하게 곁들여짐.
반쎄오는 한 끼 식사이면서도 술안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돼지고기, 새우, 숙주, 부추 등 속재료가 쫄깃하면서도 아삭하고,
피쉬소스와 라임즙, 설탕, 고추로 만든 느억맘 소스에 찍어 먹으면 풍미가 배가됩니다.
베트남에서는 상추, 깻잎, 민트, 고수 등 신선한 허브와 함께 쌈처럼 싸 먹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반죽
쌀가루 1컵
옥수수 전분 2큰술
강황가루 1작은술
코코넛 밀크 1/2컵
물 1컵
소금 약간
식용유 적당량
속재료
새우(껍질 벗긴 것) 150g
삼겹살 또는 목살 슬라이스 150g
양파 1/2개
숙주 1컵
부추 한 줌
디핑소스 (느억맘)
피쉬소스 2큰술
라임즙 1큰술
설탕 1큰술
다진 마늘 1작은술
다진 고추 약간
물 2큰술
쌈 채소
상추, 깻잎, 고수, 민트 등 기호에 맞게
반죽 만들기
쌀가루, 전분, 강황, 소금, 코코넛 밀크, 물을 잘 섞어 30분 정도 휴지시킨다.
속재료 준비
새우와 돼지고기는 얇게 썰어 소금, 후추 약간으로 밑간해둔다.
양파는 채 썰고, 숙주는 씻어 물기 제거한다.
속재료 볶기
팬에 기름을 두르고 고기, 새우, 양파를 볶는다. 반쎄오 속에 넣을 정도만 살짝 익힌다.
반쎄오 굽기
팬을 달군 뒤 기름을 넉넉히 두른 후 반죽을 얇게 펴서 부친다.
반죽이 거의 익으면 한쪽 면에 속재료와 숙주, 부추를 올리고 반달 모양으로 접는다.
바삭하게 구워 노릇노릇해지면 꺼낸다.
소스 만들기
피쉬소스, 라임즙, 설탕, 다진 마늘, 고추, 물을 섞어 느억맘 소스를 만든다.
플레이팅
구운 반쎄오를 접시에 담고 채소와 소스를 함께 낸다.
반죽은 최대한 얇게 펴야 바삭하게 익는다.
팬에 기름을 충분히 두르고 중강불로 조리해야 눅눅해지지 않는다.
숙주는 반죽 위에 올린 후 바로 덮어야 식감이 살아난다.
느억맘 소스는 기호에 따라 단맛, 산미를 조절 가능하다.
반쎄오는 베트남의 거리와 식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국민 요리입니다.
겉은 바삭하고 속은 풍성하며, 채소와 소스를 곁들이면 더욱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사가 됩니다.
이번에 소개한 레시피로 집에서도 현지 스타일 그대로의 반쎄오를 맛볼 수 있습니다.
베트남의 향을 그대로 담은 이 요리를 직접 만들어보며 음식 여행을 떠나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